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

행동 및 인지 행동 치료의 개념 1) 행동치료 - (4) 혐오 치료

by 임상심리학 2023. 8. 27.

행동 치료의 혐오치료

앞선 글들에서는 행동 및 인지 행동 치료의 개념과 행동 치료 중 체계적 둔감법, 노출치료, 행동 시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행동 치료의 마지막으로, 혐오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행동치료 중 혐오치료(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는 주로 강박증과 관련된 증상을 다루는 데 사용되는 행동치료 기법 중의 하나로, 대상자가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에 직면하면서 불안을 극복하도록 돕습니다. 이는 대상자가 불안한 상황을 경험하면서 회피 행동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혐오 치료의 종류

다음으로는 혐오치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혐오치료에는 직접노출, 심리적 노출, 강박적 행동 방지의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직접 노출: 대상자가 강박을 유발하는 물건이나 상황에 직접 노출됩니다. 예를 들어, 손을 자주 씻는다면 더러운 물건에 손을 대는 것과 같이 강박을 유발하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2. 심리적 노출: 대상자의 상상력을 활용하여 강박을 유발하는 상황을 상상하거나 글로 적어봅니다.

3. 강박적 행동 방지: 강박에 따른 회피 행동을 제한합니다. 예를 들어, 손을 자주 씻는 행동을 하지 않거나 줄여봅니다.

 

혐오 치료의 치료 방법

혐오치료(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는 강박증과 관련된 증상을 다루기 위한 효과적인 행동치료 기법으로 치료 방법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첫 번째, 노출: 대상자는 강박을 유발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불안을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시작하며, 점진적으로 노출 시간을 증가시켜 나갑니다.

두 번째, 응답 방지: 노출 시 회피 행동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합니다. 강박에 따른 회피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지 않도록 합니다.

세 번째, 반복적 연습: 노출과 응답 방지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면서 대상자의 불안이 점차 감소되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혐오 치료의 치료 순서

혐오치료의 치료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혐오적 상황 분석: 대상자와 함께 강박 증상을 유발하는 상황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회피 행동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불안이나 불편함을 느낄 때 특정 행동을 하거나 물건을 만지작거리는 것과 같은 패턴을 찾습니다.

2. 노출 계획 수립: 대상자와 함께 어떤 혐오적 상황에 직면할 것인지 계획을 세웁니다. 이때 강박 증상을 유발하는 상황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노출 시간과 노출 빈도 등을 결정합니다.

3. 노출: 대상자는 계획된 혐오적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때 대상자는 상황에 직면하면서 불안이나 불편함을 경험합니다. 대상자가 불안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마주하면서 회피 행동을 최소화합니다.

4. 응답 방지: 노출과 함께 회피 행동을 제한합니다. 예를 들어, 손을 자주 씻는다면 노출 중에는 손을 씻지 않거나, 물건을 만지작거리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5. 노출 시간 증가: 노출 시간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나갑니다. 처음에는 불안을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시작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더 긴 노출 시간을 견딜 수 있게 됩니다.

6. 피드백과 조정: 노출 중에 대상자의 감정과 물리적 반응을 관찰하며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대상자는 불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7. 반복적 연습: 노출과 응답 방지를 여러 차례 반복하여 대상자의 강박 증상이 감소되도록 합니다.

8. 전달된 스킬 유지: 대상자는 학습한 스킬을 일상생활에 유지하여 강박 증상이 재발하지 않도록 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따라 혐오치료를 진행하면서 대상자는 불안한 상황을 직면하고 불안을 극복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혐오치료는 강박증과 관련된 강박적 사고와 회피 행동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강력한 기법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자격 있는 전문가의 지도와 감독 하에 진행되어야 하며, 대상자의 심리적 안전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이 혐오치료는 행동 치료 중 가장 논쟁이 되는 치료 중 하나입니다. 처벌과도 같은 혐오자극을 이용하는 것은 인간의 존업성에 크게 위배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의 행복 추구권을 훼손시키지 않는 방법하에서 적정한 방법과 수단을 통하여 치료를 행하여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